[ED01-04] Terraform 설치하기 - Linux 환경
2021-04-28 작성완료
개요
본 강의에서는 Linux 환경에서 Terraform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.
아래의 설치 방법을 참고하여 Terraform을 설치해봅시다.
Linux 환경 - 설치방법
1) Linux용 Terraform CLI 다운로드
방법 1 - 공식홈페이지 이용방법
아래의 Terraform 공식 홈페이지에서 Linux 용 Terraform CLI 설치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.
Download Terraform - Terraform by HashiCorp
Download Terraform
www.terraform.io
방법 2 - wget을 이용한 Terraform CLI 다운로드
wget을 이용하는 방법은 "URL - https://releases.hashicorp.com/terraform/0.14.6/terraform_0.14.6_linux_amd64.zip" 을 이용합니다. wget을 사용할 경우 현재 경로에 다운로드 받는다는 것을 참고하십시오.
예. wget https://releases.hashicorp.com/terraform/0.14.6/terraform_0.14.6_linux_amd64.zip
2) Terraform 설치하기
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해제 한 후, "terraform" 파일을 "/usr/local/bin" 디렉토리에 저장합니다.
"/usr/local/bin"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이유는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.
또한 추후 업그레이드, 변경 등으로 인해 별도로 추가한 바이너리 및 스크립트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 있습니다.
3) Terraform CLI 테스트
위와 같은 작업을 완료하였을 경우 정상 설치 여부를 확인 하기 위하여 "terraform"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합니다.
"/usr/local/bin" 디렉토리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.
Linux Tip
Terraform을 사용하다보면 "terraform"을 기반으로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게 될 것 입니다.
그러나 해당 명령어를 전부 입력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.
리눅스도 윈도우와 동일하게 alias 기능을 이용하여 "terraform" 명령어를 "tf" 별칭으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안내합니다.
.bashrc를 이용하여 Alias를 등록
각 사용자는 "홈 디렉토리"를 가질 수 있습니다. 해당 디렉토리에 bash 관련 함수 및 alias를 관리할 수 있는 .bashrc 파일 있습니다. 해당 파일의 설정값은 오직 해당 사용자에게만 영향을 줍니다. 본 내용에서는 현재 계정에 대한 alias 등록 방법만을 안내합니다.
![]() |
![]() 위와 같이 "vi .bashrc"를 통하여 "alias tf='terraform"을 등록 합니다. 이후 변경된 사항을 적용하기 위하여 계정을 로그아웃 후 재접속하거나, "source ~/.bashrc "를 이용하여 로그아웃 없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. |
![]() 위와 같은 Alias 명령어를 통하여 "Terraform" 구문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|
정리하며
본 강의에서 Linux 환경에서 Terraform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였습니다.
각 OS(Windows, Linux)에 맞는 설치방법을 참고하여 설치하시기를 바랍니다.
추후 내용에는 Terraform과 Docker를 이용한 컨테이너 가상화 환경을 프로비저닝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